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593

[기자회견문] 돌봄의 공공정책 강화하고, 이주 가사돌봄 노동정책 수립하라-정부와 서울시의 “외국인 돌봄 인력” 수급 계획에 부쳐- [기자회견문]돌봄의 공공정책 강화하고, 이주 가사돌봄 노동정책 수립하라-정부와 서울시의 “외국인 돌봄 인력” 수급 계획에 부쳐-지난 2월 14일, 서울시는 “외국인 가사관리사 시범사업”(시범사업) 종료 이후 이주가사돌봄노동자(이하 이주노동자)의 취업활동기간을 연장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동안 정부와 사업주는 다양한 사업장에서, “이주노동자들은 위험한 환경에서, 싸게 일해도 괜찮다.”라는 인식을 고착화해왔다. 이들은 ‘다문화 사회’를 운운하지만, 이주노동자의 사업장 이동의 자유조차 막고 있는 현대판 노예제인 고용허가제를 폐지하기는커녕 더욱 확대하고 있다. “내국인 돌봄 인력이 감소하고 임금이 높다.”라는 명분으로 도입된 이번 시범사업 역시, 성별화되고 저평가된 가사 및 돌봄 노동의 가치를 사회적으로 어떻게 향.. 2025. 3. 3.
[페미니즘으로 책/영화 보고 이야기하는 모임 이프 함께해요!]_3월 모임 신청! [페미니즘으로 책/영화 보고 이야기하는 모임 이프 함께해요!]이번에 같이 이야기 해볼 책은 한강 작가의 "채식주의자" 입니다!이 소설은 여성이 자기의 몸과 욕망, 사회적억압 등에 대한 가부장적인 사회적구조 속에서 어떻게 저항하고 변화하는지 이야기 하는 작품 입니다. 특히 몸, 억압, 욕망, 광기, 폭력 같은 주제를 다루면서 우리 사회의 구조적 문제에 적나라하게 비판한 소설 이라고 생각합니다. 몸에 대한 통제, 억압, 비건, 인간과동물 그리고 자연, 폭력, 가부장제 등에 대해서 자유롭게 이야기 하면서 소설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요! 💜 일시 및 장소 : 2025년 3월 18일(화) 저녁 7:30 / 온라인 ZOO💜 신청 : https://forms.gle/dXKWY9zmBgdDzt9L7 💜 참가비 : .. 2025. 2. 27.
[공동성명]헌재도 인정한 위헌적인 재판관 임명 거부, 최상목 권한대행은 책임지고 사퇴하라 [공동성명]헌재도 인정한 위헌적인 재판관 임명 거부, 최상목 권한대행은 책임지고 사퇴하라 헌법재판소는 오늘(2/27) 재판관 전원의 일치된 의견으로, 최상목 권한대행이 국회가 추천한 3명의 헌법재판소 재판관 중 임의로 정계선, 조한창 재판관만 임명하고, 마은혁 재판관을 임명하지 않은 행위가 국회의 헌법상 또는 법률상 권한을 침해했다고 판단했다. 헌법재판소의 이번 결정은 최상목 권한대행과 국민의 힘의 터무니 없는 주장이 반헌법적 주장이라는 것을 확인하고, 최상목 권한대행에게 헌법재판관을 임명해야할 헌법상 의무가 있다는 것을 분명히 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헌법재판관을 미임명하고 있던 것은 애초부터 최상목 권한대행이 윤석열 탄핵심판이 완성된 9인 체제로 진행되는 것을 막아서, 심리와 결정을 지연시키.. 2025. 2. 27.
[차별금지법제정연대 논평]새로운 민주주의의 출발점, 차별금지법 더불어민주당은 외면할 것인가 [차별금지법제정연대 논평]새로운 민주주의의 출발점, 차별금지법 더불어민주당은 외면할 것인가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시민들은 7년 만에 거대한 광장과 함께 하는 일상을 보내고 있다. 광장에서 셀 수없이 많은 시민들이 차별과 혐오 없는 세상, 평등을 향한 걸음을 염원한다. 차별금지법 제정과 반드시 함께 가야할 길이다. 그런데 2월 22일 더불어민주당 주철현 의원은 “차별금지법보다 먹고 사는 문제가 우선입니다”라며 갑자기 차별금지법에 대한 입장을 냈다. 해당 입장은 더불어민주당 전남도위원장 명의로 시민들에게 문자로도 발송되었다. 주의원의 해당 글의 요지는 일부 민주당 의원이 법안을 발의하긴 했지만 당차원에서 노력한 바 없다, 내란위기 극복과 민생회복이 우선이다, 민주당은 차별금지법을 추진한 적 없고, 추진할 계획.. 2025. 2. 27.
🟣<3.8 세계여성의 날> 기념 제40회 한국여성대회🟣 🟣 기념 제40회 한국여성대회🟣 시대를 잇는 우리의 연대  "페미니스트가 민주주의를 구한다" ▶️ 일시 : 2025년 3월 8일(토) 11:30-17:00*      * 부스 참여 프로그램: 11:30-17:00      * 기념식: 14:30~16:00  ▶️ 장소 : 서울 광화문 동십자각 1985년 제1회 한국여성대회를 시작으로, 2025년 한국여성대회가 40주년을 맞이합니다.    한국여성대회는 한국사회의 여성들과 수많은 소수자들이 당면한 시대적 문제와 의제들을 드러내고 성평등 사회를 향한 페미니스트들의 힘과 연대를 확인하는 축제의 장입니다. 여성들은 언제나 시대를 넘어 광장에 있었습니다. 여성들은 민주주의 위기와 사회부정의의 역사적 현장에서 민주주의와 성평등 가치의 실현을 위해 시대와 세대를 .. 2025. 2. 27.